11. 좌표계
좌표계는 *CoordinateSystem
으로 지정한다. 고유이름을 가지며 이름은 중복하여 지정할 수 없다. 좌표계는 크게 원점을 가지는 사용자 정의 좌표계(User)와 원점없는 좌표계인 Orientation
, Beam
으로 구분된다. User
좌표계는 절점좌표계를 지정하는 등에 사용되고, Orientation
은 요소의 국부좌표계, 재료, 하중, 경계조건 등을 부과할 때 사용된다. Beam
좌표계는 보요소의 요소좌표계(ECS)를 정의할 때 사용된다.
*CoordinateSystem
좌표계를 지정
*CoordinateSystem, TYPE=type Name=name
...
Keyword line
- TYPE=type: 좌표계 종류
- User: User coordinate system, 원점이 있는 좌표계
- Orientation: 재료, 하중, 경계조건 등의 정의에 사용되는 원점이 없는 좌표계
- Beam: 보요소의 요소좌표계(ECS)
- Name=name: 좌표계 이름
*CoordinateSystem, Type=User
사용자 정의 좌표계를 정의
*CoordinateSystem, TYPE=User, Name=name
axes1X, axes1Y, axes1Z
axes2X, axes2Y, axes2Z
originX, originY, originZ
First dataline
- axes1X, axes1Y, axes1Z: 1번 축(X축) 방향벡터(required). 단위벡터로 변환됨.
Second dataline
- axes2X, axes2Y, axes2Z: 2번 축(Y축) 방향벡터(required). 주어진 axes1와 axes2로부터 axes3를 계산후 다시 계산되며, 단위벡터로 변환됨
Third dataline
- originX, orginY, originZ: 원점
Example
*CoordinateSystem, Name=XZ1
1, 0, 0
0, 0, 1
0, 1, 0
*CoordinateSystem, Type=Orientation
재료, 하중, 경계조건 등의 정의에 사용되는 원점이 없는 좌표계를 정의
*CoordinateSystem, Type=Orientation, Name=name
axes1X, axes1Y, axes1Z
axes2X, axes2Y, axes2Z
First dataline
- axes1X, axes1Y, axes1Z: 1번 축(X축) 방향벡터(required). 단위벡터로 변환됨.
Second dataline
- axes2X, axes2Y, axes2Z: 2번 축(Y축) 방향벡터(required). 주어진 axes1와 axes2로부터 axes3를 계산후 다시 계산되며, 단위벡터로 변환됨
좌표계는 입력된 좌표계로부터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직교 좌표계로 설정된다.
\[
\small
{\rm z} = {\rm x} \times {\rm y}, \quad
{\rm y} = {\rm z} \times {\rm x}
\]
Example
*CoordinateSystem, Type=Orientation, Name=INC30
cos(30*pi/180), sin(30*pi/180), 0
0,1,0
*CoordinateSystem, Type=Beam
보요소의 요소좌표계(ECS)를 정의
*CoordinateSystem, Type=BeamCS, Name=name
angle, rx,ry,rz
First dataline
- angle: angle (unit: degree)(required)
- rx,ry,rz: reference vector.(optional)
Example
*CoordinateSystem, Type=Beam, Name=beamcs
90, 10.,0,0
*Element, Type=Beam3D
1,1,2, S=beam, C=beamcs
*Distribution, Type=BeamCS
slab, beamc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