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6. 기타
*Environment
환경을 설정한다. 하나의 입력파일 전체를 제어한다.
*Environment, Type=type
...
Keyword line
-
TYPE=type: 환경 종류
- Unit: 단위계 설정
- Info: 문자열 정보 입력
- ShellThickness: 쉘 요소(S3, S3F, S4, S4F)의 절점 두께
- ShellDirector: 쉘 요소(S3, S4)의 절점 director 벡터 지정
- Control: 내부 제어 변수 설정
*Environment, Type=Unit
단위계 설정
*Environment, TYPE=Unit
force-length[-time][-temperature]
First dataline and subsequent datalines
- force: force unit (required). One of N, kN, kgf, tonf, lbf, kip
- length: length unit (required). One of m, cm, mm, km, in, ft, yd, mi
- time: time unit (required). One of s, min, hr, day, none. none은 time에 대한 unit를 지정하지 않고 temperature에 대한 unit을 지정할 때 time unit가 없다는 의미이다.
- temperature : temperature unit(required), K, C, F
단위계는 한번만 정의할 수 있다. 만약 정의하지 않으면 unit free이다. 지정하는 경우 fore-length를 반드시 지정하여야 하고, time, temperature는 옵션이다.
Example
*Environment, TYPE=Unit
kN-mm
*Environment, TYPE=Unit
kN-mm-s
*Environment, TYPE=Unit
kN-mm-none-K
*Environment, TYPE=Unit
kN-mm-s-K
*Environment, Type=Info
문자열 정보 입력
*Environment, Type=Info
information ...
...
First dataline and subsequent datalines
- information: multilines are allowed
Info에 주어진 내용을 해석에 사용되지 않고 단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을 사용된다.
Example
*Environment, TYPE=Info
중공연도는 2000년으로 2005년 점검시 B급 판정을 받음
2009년도 동일
*Environment, Type=ShellThickness
쉘 요소(S3, S3F, S4, S4F)의 절점 두께 지정
*Environment, Type=ShellThickness
targetNode, h
targetNset, h
targetSurface, h
...
First dataline and subsequent datalines
- targetNode: target node (required)
- targetNset: target nset(required). 절점집합내 절점이 대상이 됨.
- targetSurface: target surface(required). Surface내의 절점이 대상이 됨.
- h: 절점 두께(required).
쉘 요소의 두께는 쉘 단면과 절점 두께 등을 통해 결된다. 절점 두께(*Environment, TYPE=ShellThickness
)가 주어지는 경우 쉘 단면에 정의하는 두께는 무시된다.
Example
*Environment, TYPE=ShellThickness
1, 0.4
slab, 0.7
*Environment, Type=ShellDirector
쉘 요소(S3, S4)의 절점 director 벡터 지정
*Environment, Type=ShellDirector
targetNode, vx, vy, vz
targetNset, vx, vy, vz
targetSurface, vx, vy, vz
...
First dataline and subsequent datalines
- targetNode: target node (required)
- targetNset: target nset(required). 절점집합내 절점이 대상이 됨.
- targetSurface: target surface(required). Surface내의 절점이 대상이 됨.
- vx, vy, vz: 점점에 shell nodal director 벡터를 지정(required). 내부적으로 단위벡터로 정규화하여 사용함.
*NProp, TYPE=ShellDirector
는 S3, S4 쉘 요소의 절점 director 벡터를 지정한다. *NProp, TYPE=ShellDirector
로 디렉터를 정의하면, 연결된 쉘요소에서 자동으로 계산된 director는 무시된다.
Example
*NProp, TYPE=ShellDirector
1, 1., 1., 0.
slab, 4, 1, 2.
*Environment, Type=Control
내부 제어 변수 설정한다.
*Environment, TYPE=Control
Compact=On|Off
EquationPrint=On|Off
Shell5DOF=coincidentDirector, penaltyDrilling
OutputPrecison=single|double
ConstraintHandler=Gauss|QR
NonsmoothIntegrationLevel=level
BoundaryTolerance=btol
First dataline and subsequent datalines
- CompactForm=On|Off: 절점집합, 요소집합, surface를 출력할 때 compact form으로 출력 여부를 지정(default On)
- EquationPrint=On|Off: 수식 번호 및 구속조건식을 파일로 출력할 지를 지정(default Off). 번호 출력 파일 명칭은 input-step.eqn 형태로 개별 step에 대해 생성됨
-
Shell5DOF=coincidentDirector, penaltyDrilling: 5자유도 쉘이 만나나는 절점에서의 특성값을 정의함.
- coincidentDirector: 5자유도 쉘이 만나는 절점에서의 5자유도와 6자유도의를 구분하는 최소 사이각. 단위는 degree이고, 0-90사이의 값을 가지고 penaltyDrilling보다는 작아야 함. (default 0.1)
- penaltyDrilling: 5자유도 쉘이 만나는 절점에서의 쉘의 꺽임각 차이로 6자유도로 어셈블 될 때 penalty drilling rotational stiffness를 부과하는 각. 단위는 degree이고, 0-90 사이의 값을 가짐 (default 5)
-
OutputPrecision=single|double:
.hdb' 파일을 binary나 hdf5 포맷을 데이터를 기록할 때 결과(
*Result` 블록)를 기록하는 실수값의 정밀도 (default=single) - ConstraintHandler=Gauss|QR: 구속조건식을 처리하는 알고리즘. QR이 빠르고, Gauss은 늦으나 robust 함 (default=QR)
- NonsmoothIntegrationLevel=level: Nonsmoth 또는 Discontinuous 함수 적분시 적용되는 수치적분차수의 수준. 0, 1,2,3이 가능하며, 디폴트는 3. 0이면 형상함수에 맞는 저차의 적분이 적용되고, 1이면 precision 5, 2이면 precision 7, 3이면 precision 9 적용.
- BoundaryTolerance=btol:
*Sensor
,*Constraint, TYPE=Embedded
등에서 연속체나 쉘요소 경계에 센서나 연결구속점 위치를 찾았을 때 허용 경계값. 이 허용값에 있는 경우 경계에 있다고 가정함. 디폴트 1E-4.
Example
*Environment, TYPE=Control
Compact=Off
*Environment, TYPE=Control
OutputPrecision=double
*Stop
입력파일 파싱을 멈춘다.
*Stop
*TestMaterial
Test material model for given strain history
*TestMaterial Mat=mat FILE=file
TYPE=cond, FIELD=field1, field2, ...
e1,e2,...,N=n
...
Keyword line
- Mat=mat: material
- FILE=file: output file name
First dataline
- TYPE=cod: 응력상태. U(1축응력), PS(평면응력), PE(평면변형), AX(축대칭), S(쉘조건), G(3차원) 가 가능.
- FIELD=field1, field2, ...: 출력할 결과. S는 응력, E는 변형률, DSDE는 jacobian ( DSDE를 제외한 결과는
*Output
참조)
Second dataline
- e1,e2,...: strain. 응력상태에 따라 개수가 정해짐.
- N=n: subpoint (Defualt 1)
*TestMaterial
은 주어진 변형률 이력으로 부터 재료모델을 테스트해서, 그 결과를 파일(material.csv)로 출력한다. 이 명령은 DB에 저장되지 않고 즉시 구성모델을 실행시켜 결과를 출력한다.
다음은 응력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응력 및 변형률, 소성변형률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.
Example
*MATERIAL, TYPE=J2Plasticity Name=mat
E=2E7 nu=0.2 Yield=4E4 Hard=4E4,0.
# strain history = 0.004, 0.005, 0.006, 0.0054, .... -0.006
*TestMaterial, Mat=mat FILE=J2-U.csv
TYPE=U Field=DSDE,E,S,PE,PEEQ
0.004,
0.006 N=2
-0.006 N=10
*TestMaterial, Mat=mat FILE=J2-3D.csv
TYPE=G Field=DSDE,E,S,PE,PEEQ
0.004,0.,0. 0. 0. 0.
0.006,0.,0. 0. 0. 0. N=3
-0.006,0.,0. 0. 0. 0. N=10